상단 이미지
전기계 동향
총 : 552건
“에너지전환 발판삼아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등록 : 2020-02-2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구글플러스
산업부 2020년 업무계획 에너지 분야 살펴보니
수소 인프라, 가스터빈·신재생 확대에 초점
‘원자력 홀대’ 지적에 “해외 신규원전 수주 노력”
산업통상자원부 2020년 업무계획.
정부가 수소·가스터빈·신재생으로의 에너지전환을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기회로 삼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7일 발표한 ‘2020년 업무계획’에는 수소경제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전환이 5대 주요업무에 포함됐다.

산업부는 ▲수소경제 ▲에너지 신산업 ▲공급안정·안전 등을 골자로 하는 에너지전환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글로벌 1등 국가’ 도약 위해 수소 도매가격 25% 인하 목표

산업부는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의 생산·운송·공급 협업체계를 구축해 수소충전소에 공급되는 수소가격을 25%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수소충전소 증설과 더불어 100기 규모의 신규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권역별로 천연가스 화학반응을 통해 추출한 수소를 생산하는 기지를 구축해 인근 수소충전소에 수소를 공급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산업부는 이러한 수소공급 확대를 기반으로 올해 수소차는 1만대 이상, 수소버스·택시는 200대가량 보급을 늘릴 계획이다.

연료전지 설비용량 확대에도 주력해 연말까지 지난해(누적 397㎿)보다 46% 증가한 580㎿ 설비용량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선박, 지게차, 건설장비 등에 연료전지를 도입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이와 더불어 산업부는 수소차 1000대 수출 달성, 수소트럭·드론·연료전지 최초 수출 등을 통해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15조원 규모’ 국내 가스터빈 시장 열려

산업부는 향후 10년간 국내에서만 15조원 규모로 형성될 가스터빈 시장에서 국내기업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대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연내에 조기 착공한다고 밝혔다.

에너지전환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의도다.

앞서 ‘한국형 표준가스복합 개발 사업화 추진단’을 발족하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김포열병합발전소를 이을 추가 가스터빈 테스트 베드 구축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한 산업부는 이번 업무계획을 통해 노후 발전소를 실증 테스트 베드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업계를 중심으로 일산·분당 등 1기 신도시와 인천에 있는 노후 LNG발전소가 그 대상이 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해당 LNG발전단지에 이미 LNG 배관이나 송전망 등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테스트 베드로서 활용가치가 높다는 분석이다.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향후 3년간 예정된 11조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조기에 추진해 올해 1조9000억원 규모를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산업부는 하반기에 지역특화 에너지산업과 연계한 에너지융복합단지를 추가로 지정해 지역별 에너지 신산업 거점·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한편 산업부는 올해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제14차 장기 천연가스수급계획, 자원개발 기본계획 등을 수립하고 석유수급 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을 통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상반기 중에 에너지시설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등 수소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위주로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원자력 홀대’ 논란에 산업부 “체코·폴란드 신규원전 수주 노력”

산업부의 올해 업무계획이 발표된 뒤 원자력발전 정책이 빠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산업부는 즉각 “2020년 4개 부처 합동 업무보고의 주제는 ‘혁신성장’”이라며 “에너지 분야는 다양한 정책 중 혁신성장과 관련성이 높은 수소‧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정책을 중점적으로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도 원전 생태계를 위한 정부의 지원을 지속 추진·강화해 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원전산업은 체코·폴란드 신규원전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동시에 전주기 수출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해체·안전투자는 2030년까지로 수립된 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는 동시에 핵심 공급망, 인력 관리를 통해 기존 원전의 안전운영과 생태계 유지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기사의 원본 바로가기

< 저작권자 ⓒ 전기신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십시오.

(or press ESC or click the overlay)

주소 : 우)08805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40(남현동 1056-17), 대표전화 : 1899-3838
Copyright 2016 Korea Electric Engineers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사업자번호:120-82-0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