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이미지
전기계 동향
총 : 553건
美 최대 산유국 반열·韓 ESS 시장 주도...2018 '글로벌에너지 7대 이슈'
등록 : 2019-01-0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구글플러스

美, 유가 좌우할 공급자로 위상 강화
바닥친 폴리실리콘값 안정세로 전환
전기차 배터리 시장 중국·일본 강세
삼성SDI·LG화학, ESS 점유율 70%
대만, 국민투표서 탈원전 정책 폐기
韓·中·日…전세계 LNG수요 중심에

▲(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올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흐름을 가장 크게 장악한 변수는 국제유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부텍사스원유(WTI)는 지난 1월 배럴당 60달러를 돌파하는 등 전문가들은 올해 유가가 작년보다 한층 더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WTI와 브렌트유는 최근 배럴 당 각각 50달러, 60달러 선이 깨지면서 전문가들의 유가전망이 송두리째 어긋나게 됐다. 

에너지 시장을 흔든 요인은 국제유가뿐만이 아니다. 태양광 전지의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지난 5월부터 곤두박질치자 폴리실리콘 제조업체인 OCI는 직격탄을 맞았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은 우리나라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배터리 시장에서 삼성SDI·LG화학 등의 위상이 높아졌다. 이렇듯 올 한해 글로벌에너지 시장의 관심을 증폭시킨 이슈들이 또 뭐가 있을 까. 본지가 꼽은 ‘2018 7대 글로벌에너지 이슈’를 소개한다. <편집자주>



▲원유채굴장비(사진=AP/연합)



◇ 셰일에 힘입은 미국, ‘세계 1위 산유국’ 자리 탈환

미국이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세계 최대 산유국 자리에 올랐다. 지난 8월 미국의 하루 원유생산량이 1100만 배럴에 달하면서 1999년 2월 이래 처음으로 기존 1위였던 러시아를 앞서면서 산유국 1위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최대 산유국 자리에 등극한 것은 1973년 이후 45년 만이다. CNN머니는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지난 10년 동안 2배 이상 늘었다면서 미국의 셰일오일이 세계 에너지 시장의 지형을 재편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CNN머니는 텍사스가 셰일오일 붐의 중심점이라고 전했다. 미 에너지정보국(EIA)에 따르면 텍사스 서부 퍼미언 분지 유전의 생산량이 급증하면서 지난 2월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사우디를 제치고 산유국 2위 자리에 올랐다.

미국은 당분간 세계 최대 산유국 자리를 내놓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IA는 적어도 2019년까지는 미국이 러시아와 사우디보다 많은 양의 원유를 생산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EIA에 따르면 현재 미국 원유 생산량은 하루 1200만배럴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왕성한 원유 생산에 힘입어 지난 12월 미국은 7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석유 순수출국으로 전환해 국제유가를 좌우할 공급자로서 그 위상을 강화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 증가는 공급 측면에서 국제유가 하락을 부추기는 하나의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실제 국제유가는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에 대한 우려에 지난 17일(현지시간)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14개월 만에 배럴당 50 달러가 붕괴됐고 브렌트유는 60 달러 선이 깨졌다. 


▲폴리실리콘(사진=OCI)


◇ 바닥 친 ‘폴리실리콘’ 가격…태양광 시장, 빛 보나

세계 최대 태양광 시장 중국이 지난 5월 태양광 보조금을 삭감하고 집중형 태양광 발전 허가를 동결했다. 이로 인해 중국 내 신규 태양광 설치량이 감소했고 태양광 전지의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수요도 함께 줄어들게 되는 등 태양광 시장이 침체기를 맞았다. 당초 지난해 53GW 규모였던 중국 태양광 시장이 정부의 신규 설치 축소 등으로 올해 40GW 내외로 위축될 것이라는 예상에 업계에서는 설치량이 전년 대비 급감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했다. 

중국의 수요위축 우려로 폴리실리콘 가격은 지난 6월부터 약 40% 가까이 폭락했고, 이는 태양광 업체의 실적 둔화로 고스란히 반영됐다. 특히 전체 폴리실리콘 물량 중 중국 수출 비중이 80∼90%에 달하는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OCI는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80% 급감했다.  

하지만 지난달 중국 당국이 기존 입장과 상반된 태양광 정책을 발표하면서 분위기가 빠르게 반전됐다. 중국 에너지부는 정부 주관 컨퍼런스에서 오는 2020년 말 태양광 설치 목표를 270GW로 상향하고 2022년까지 태양광산업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시장 안정화를 위해 내년도 태양광 정책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혀 업계는 이를 중국이 내년 태양광 설치 허가를 재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했다. 2019년 글로벌 수요가 40% 가까이 증가해 전 세계 태양광 설치량은 133GW(125~141GW) 수준으로 전년 대비 20∼25% 늘어날 전망도 나왔다.  

태양광 설치량이 회복될 거란 기대가 퍼지면서 폴리실리콘을 포함한 태양광 제품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실제 올해 1월 18달러에 육박했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지난 15월 평균 15달러 전후로 내려갔고, 6월 12.22달러로 떨어져 급기야 10월 말 10달러선마저 붕괴됐다. 이어 11월 넷째주 9.53달러까지 떨어졌으나, 그 가격이 12월 둘째 주까지 보합세가 유지되면서 가격 인하 행진은 멈춰선 모습이다. 관련 업계는 폴리실리콘 가격이 바닥을 쳤다고 보고 있다. 


▲국내 배터리업체 3社(사진=에너지경제DB)


◇ 폭발적인 전기차 배터리 시장, "中·日…强" VS "韓…弱"

세계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친환경차 지원 확대로 전기차 출하량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에 탑재하는 배터리 수요도 증가하면서 전기차 배터리업계가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 리서치에 따르면 2018년 1~10월 전세계 전기차에 출하된 배터리의 총량은 64.8GWh로 전년 동기보다 80.8% 상승했다. 또 글로벌 전기차시장 규모는 2019년 612만대에서 2025년 2213만대로 6년간 3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승용차 판매량 중 전기차 비중은 2040년 55%로 내연기관차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럽 일부 국가가 2020년대 들어 순차적으로 내연기관차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고 이같은 추세가 점차 해외 각국으로 확대되면서 전기차시장 규모는 폭발적으로 커질 것이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전기차 배터리시장 역시 2016년 25GWh에서 2020년 110GWh, 2025년 최대 1000GWh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올 들어서도 1∼10월 기준 글로벌 배터리 출하량은 총 64.8GWh로 전년 동기 대비 80.8% 급증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국내 업체가 중국의 보조금 지원과 일본의 기술력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지난해 같은 기간 3위에서 올해 4위로 한 계단 내려갔다. 출하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8.6% 늘어나는데 그쳐 전기차 배터리시장 평균 출하량(80.8%)을 크게 밑돌았다. 삼성SDI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출하량이 21.4% 증가한 데 그쳐 시장점유율이 5위에서 6위로 떨어졌다. 

SNE리서치의 관계자는 "한국계인 LG화학과 삼성SDI는 중국계와 일본계의 입지가 확대되면서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향후 두 업체가 현재의 난국을 제대로 타개해나갈 수 있을 지가 배터리시장의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전력이 ESS 렌탈 사업에 나섰다. 사진은 한국전력 경산 변전소에 위치한 세계 최대규모 주파수 조정용 ESS. (사진=에너지경제DB)


◇ 판 커지는 ESS 글로벌 시장, 올해는 韓기업 시장점유율 1위
     
석탄발전의 의존도를 낮추고 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ESS는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 설비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기능부터 전기를 저장해 유사시 사용할 수 있는 기능까지 사용 영역도 매우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ESS 시장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맞이할 전망이다.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향후 2040년 까지 전세계 ESS 설치규모는 급증할 전망이다. ESS장치의 핵심소재인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하락이 시장의 성장세를 주도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중국, 미국, 인도, 일본, 독일, 프랑스, 호주, 영국 등 9개국이 향후 ESS 시장을 이끌어 2040년까지 시장 점유율 3분의 2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국내 ESS 시장은 REC 가중치가 2019년 12월까지 높은 수준으로 적용돼 수요의 고공행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2017년 국내 ESS 설치량은 763MWh였지만 올 상반기에만 벌써 1,800MWh를 돌파했고, 연간으로는 3,700MWh 이상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글로벌 전망치가 4.2GWh인 점을 고려하면 올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ESS 시장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하나금융투자가 조사한 전세계 ESS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2014년 삼성SDI가 30%로 1위, LG화학이 29%로 2위를 차지했으나 올해에는 삼성SDI가 43%, LG화학이 37%로 전 세계 ESS 시장점유율의 약 70%를 차지할 전망이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폭증하는 국내 ESS 설치 증가로 이익 개선효과까지 나타나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국내 수요 증가가 2020년이 지나면 급감할 가능성에 우려하고 있다"며 "이를 불식시킬 수 있는 것이 미국 ESS의 수요 급증"이라고 분석했다.


▲대만의 제3원전(사진=연합)


◇ 대만, 국민투표로 ‘탈원전 정책’ 폐기
 

대만은 차이잉원 정부가 지난 11월 24일 지방선거 함께 실시된 탈원전 정책 폐기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2025년까지 원전 폐기 목표 기한을 폐지하기로 했다. 대만의 탈원전 정책이었던 전기사업법 조문(2025년까지 원전 중단) 폐지에 찬성하는 의견이 59.5%로 나오면서다.  

대만은 한 때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반(反)원전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하지만 탈원전 정책에 대한 지지는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했다. 탈원전에 따른 전력수급 불안과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정책 추진 과정에서 잡음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잦아들자 대만인들의 선택은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주목받았다. 정부는 대만의 국민투표를 결과에 대해 "대만과 우리가 추진해 왔던 정책이 같은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많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지난 11월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른 나라의 에너지정책을 참고해 왔기 때문에 (대만 국민투표 결과도) 참고할 여러 정책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대만 케이스를 한국에 바로 투영하는 것은 아닌 듯하다"고 말했다. 


▲가스공사의 삼척 LNG 생산기지 27㎘급 LNG 저장탱크 3기 전경. (사진=한국가스공사)


◇ 세계 LNG 시장 아시아 중심으로 수요 커진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친환경 정책 강화가 맞물리면서 LNG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환경 정책의 하나로 석탄에서 가스로 연료 전환을 서두르며 LNG사용확대를 장려하고 있고 글로벌 조선업계는 2020년부터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 배출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비율을 3.5%에서 0.5%로 감축하는 규제 시행에 맞춰 LNG, LPG 등의 가스 수요를 늘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LNG 물동량은 전년 2억9200만t(톤) 대비 10% 이상 늘어난 3억2400만t을 기록할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에너지 개발기업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는 2025년 전세계 LNG 물동량이 4억4200만t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고, 하나금융투자는 2030년 6억t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천연가스 수요의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 조사회사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올해 세계 LNG 수요량은 지난해보다 8.5% 증가한 3억800만t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BNEF는 아시아가 LNG 수요 증가를 주도하는 흐름이 더욱 강해질 것으로 분석해 2030년까지 아시아에서만 1억4300만t의 추가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BNEF관계자는 "2017년부터 2030년까지 세계 LNG 수요 증가분의 87%가 중국, 한국, 일본, 인도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2030년 세계 총 수요량은 4억5000만t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폐막한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4)에서 진통 끝에 상세규정이 채택됐다. (사진=AP/연합)


◇ 파리기후협정 이행 세부지침 겨우 채택…‘알맹이 없다’ 비판도

파리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린 제24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 대표단이 예정된 폐막일(14일)을 하루 미루면서 마라톤협상을 벌인 끝에 15일 상세규정 채택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각국이 탄소배출 감축량 산정 방식 및 보고 방식 등에 견해차를 드러내며 갈등이 빚어졌다. 

파리협정은 배출가스 감축이 이중으로 산정되지 않도록 규칙을 만들도록 요구한다. 그러나 브라질은 기존 체계에서 축적된 탄소 배출량 유지를 주장해 왔고, 선진국들은 기존 체계에 투명·정확성이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취약하고 경제력이 약한 국가들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협정 이행을 위해 2020년까지 연간 1천억 달러 규모로 재원을 마련하기로 한 약속을 어떻게 이행할지 더 상세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원국들은 진통 끝에 2020년까지 새로운 감축 계획을 내놓기로 합의했다. 온실가스 감축 보고는 동일한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선진국이 개도국에 실질적으로 얼마나 재정지원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출토록 하는 등 재원 조달을 높이는 방안도 채택됐다.  

그러나 이번에 도출된 상세 규정이 지구 온난화의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제니퍼 모건 그린피스사무총장은 "명확한 규정집이 없다면 각국이 실제 어떻게 행동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이행하는지 알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해당 기사의 원본 바로가기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송재석 기자]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십시오.

(or press ESC or click the overlay)

주소 : 우)08805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40(남현동 1056-17), 대표전화 : 1899-3838
Copyright 2016 Korea Electric Engineers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사업자번호:120-82-0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