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이미지
전기계 동향
총 : 553건
"왜 계속 불이 날까"…ESS 수난시대 무엇이 문제인가
등록 : 2018-12-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구글플러스

ESS 가동 중단 권고에도 화재...배터리 자체, 부실시공 등 문제 가능성
삼성SDI와 LG화학 등 배터리 제조사 긴장
"재생에너지 3020 정책 달성을 위한 무리한 보급이 원인"
정부 "정밀진단과 제도개선, 화재원인조사에 집중"



▲지난 22일 오후 5시 30분쯤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한 태양광 발전설비 ESS에서 불이 나 119 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 [사진제공=강원 삼척소방서]



"왜 불이 나는 것일까." 

에너지저장장치(ESS) 수난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ESS 화재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그 원인을 두고 복잡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ESS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정부가 안전점검을 받지 않은 ESS에 대한 가동중단을 권고했다. 사업자가 이를 어기고 가동해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정부는 아직도 근본 원인을 찾지 못했다. 사업자들의 안전불감증까지 겹쳐 앞으로 계속 화재가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안전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보조금 지원을 받기 위해 무리하게 ESS 보급을 늘린 부작용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화재 원인을 찾지 못하면 ‘재생에너지 3020’을 추진하는데도 동력을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2일 오후 5시 30분쯤 강원 삼척시의 한 태양광 발전설비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리튬이온 배터리 272개와 건물 90㎡가 불타 18억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가 났다. 화재 직후 한국전력공사는 유입전기를 차단해 추가 피해를 막았다. 소방당국 등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잇따르자 정부는 지난달 28일 전국 1300개 ESS 사업장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등 화재 예방대책을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시공 불량, 필수 보호 연결 장치 누락, 배터리 시스템 결함 등에서 화재 원인을 찾고 있다. 배터리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ESS 화재는 올해 16번을 포함해 최근 2년 동안 총 17번 발생했다. 배터리 제조사별로 보면 LG화학 9건, 삼성SDI 6건, 기타가 2건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도 화재 원인을 밝히지 못한 상황에서 모든 책임이 배터리 업계에 있는 것처럼 비쳐지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배터리 제조사들은 9월부터 ESS 운영 업체에 배터리 충전 상한선을 기존 95%에서 75% 수준으로 낮춰 운영해달라고 요청했다. 발생하는 손해는 직접 배상했다. 그럼에도 사고가 이어지자 정부는 지난 17일 안전진단이 완료되지 않은 모든 ESS 사업장 가동을 중단하고 정밀안전점검 후 가동할 것을 권고했다.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한 LG화학은 국가기술표준원과 협의해 80곳을 가동 중단시켰다.

사업자들의 안전불감증도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번 삼척 ESS는 안전진단 결과를 무시하고 계속 가동하던 중 화재가 났다. 해당 ESS의 배터리를 제조한 LG화학이 두 차례에 걸쳐 점검을 실시한 후 이미 가동중지를 요청했는데 사업자가 이를 거부한 것으로 드러났다. LG화학은 9월 삼척 사업장 점검 당시 누수가 발견돼 개선조치를 요청했다. 11월 재점검에는 개선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즉각 가동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사업장은 이를 무시한 채 계속 ESS를 운영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달 초 LG화학은 사업장에 권고를 무시하며 운영을 지속하면 더 이상 보증을 할 수 없다는 내용 증명까지 발송했다. LG화학 관계자는 "최종 결과는 산업부가 내리겠는데 지금 상황에서 이번 화재는 운영 상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 3020 정책 달성을 위한 무리한 보급이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안전에 대한 기준 등을 먼저 확보한 다음 안전 기준대로 ESS를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데 보조금 지원과 연계돼 너무 급격하게 ESS를 늘리는 바람에 안전 조치가 많이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실제 지난해와 올해 발생한 화재 17건 중 9건이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ESS에서 발생했다. 풍력발전소와 연계된 ESS에서도 3건의 화재가 있었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운영하면서 ESS까지 설치할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보조금을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품 안정성 점검은 물론 설치과정에서 사전 안전 모니터링에 역부족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ESS 설치 규모는 2016년 225메가와트시(MWh)에서 올해 6월 기준 1182MWh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설치된 ESS 1253개 중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ESS는 전체 46%인 575개이다. 

정부의 대책도 오리무중이다. 화재의 구체적 원인을 찾지 못하면서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재 ESS 업무는 산업부에서 국가기술표준원 전기통신제품안전과로 이관됐다. 국표원 전기통신제품안전과 백경동 과장은 "지난 여름 산업부와 전기안전공사가 1차 현장조사를 마쳤다"며 "이를 토대로 정부는 정밀진단과 제도개선, 화재원인조사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전 역시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특히 ESS가 설치된 1253곳 중 300여곳에 달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 특별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십시오.

(or press ESC or click the overlay)

주소 : 우)08805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40(남현동 1056-17), 대표전화 : 1899-3838
Copyright 2016 Korea Electric Engineers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사업자번호:120-82-02744